회사를 열심히 다닐 때 저는 항상 버스를 타고 자주 왔다 갔다 하곤 했었는데요. 서울에 버스 체계는 이명박 당시 서울 시장이 개편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도 많고 탈도 많고 했지만, 다른 정책이 성공이든 실패이든 사람은 공과 과가 있겠지만, 이것만은 잘된 정책이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알아본 서울 버스 간선, 지선, 광역, 순환 버스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울 버스 종류


광역(빨강) 버스


-서울과 수도권 도시를 급행으로 오가는 광역 버스입니다.

-4자리 수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자리는 광역버스 구분번호(9), 두 번째 자리는 출발지 권역 구분 번호, 서너 번째 자리는 노선 일련번호입니다.






간선(파랑) 버스


-서울 시내 먼 거리를 운행하는 간선 버스입니다.

-3자리 수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자리는 출발지 권역 구분번호, 두 번째 자리는 도착지 권역 구분번호, 세 번째 자리는 노선 일련번호입니다.






지선(그린) 버스


-간선버스와 지하철로 연계 및 지역 내 통행을 위한 지선 버스입니다.

-4자리 수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자리는 출발지 권역 구분번호, 두 번째 자리는 도착지 권역 구분번호, 서너 번째 자리는 노선 일련번호입니다.






순환(옐로우) 버스


-도심과 부도심 내에서 단거리 순환 운행을 위한 버스입니다.

-2자리 수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자리는 권역 구분번호, 두 번째 자리는 노선 일련번호입니다.






 이상으로 서울 버스 종류 4가지. 광역, 간선, 지선, 순환 버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영어의 앞글자를 따서 R, B, G, Y로 나누기도 합니다. 광역버스나 순환 버스는 대략 감은 왔지만, 간선, 지선 버스의 차이는 저도 이제야 제대로 알아낸 것 같습니다. 서울에서 산지 몇 년이 지나고 버스 출퇴근을 몇 년을 넘게 했는데도 관심이 없으니 몰랐던 것 같습니다. 이렇게 대중교통에서 잘 모르고 지나쳤던 부분 계속 포스팅하겠습니다.

+ Recent posts